책 뒤편에 나오는 옮긴이의 말을 보면 낸시 프레이저가 한국 독자들에게 낯설지 않은 정지철학자이자 비판이론가라고 나오는데 이런 인물을
이제서야 접하는 내가 많이 무지했고 무지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은 제2물결 페미니즘의 시기로 알려진 과거 30년에 걸친 그의 작업을 묶어낸
저서다(p. 336). 이 책을 읽으면서
페미니즘의 역사를 제1물결과 제2물결로 구분하는 관점을 알게
되었는데 이 구분이 공식적인 구분인지 아니면 글쓴이만의 주관인지는 정확히 모르겠다. 제1물결은 여성들의 참정권 이슈를 중심으로 솟구쳤던 20세기 초반까지의
흐름을 지칭하고 제2물결은 제2차 세계대전 후 자본주의 국가에서
1960년대부터 새로운 양상으로 일어난 페미니즘 운동의 흐름을 뜻한다.
책은 그 제2물결 페미니즘의 전개 양상을 3단계-글쓴이는 3막으로 표시한다-로
구분하여 해석하고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향후 어떻게 진행될지 등을 다룬다.
1막에서는 자본주의
안의 남성중심주의를 변혁하려는 움직임을 보게 된다. 하버마스의 논의를 주로 해서 라캉, 크리스테바의 논의를 다루며 그런 논의의 문제점을 비판함으로써 페미니즘의 방향성을 암시하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정치적 집단으로서의 여성을 어떻게 규정하는지에 대한 글쓴이의 시각, 비판을 바라보자.
지난 반세기 페미니즘의 쟁점을 망라한
좌파 페미니스트 낸시 프레이저의 역저
정치철학 비판이론가 낸시 프레이저가 25년 동안 사회주의 페미니스트로서 실시간으로 펼친 다양한 논의를 한데 엮은 비평집. 1970년대 이후로 페미니즘에서 문제가 되어 온 뜨거운 쟁점들이 망라된 가운데 ‘분배-인정-대표’ 프레임 등 낸시 프레이저가 내놓은 탁월한 분석과 제안들이 각 장마다 촘촘히 실려 있다. 더 올바른 젠더정의, 더 강력한 페미니즘을 꿈꾸고 고민하는 이 시대 모든 페미니스트, 모든 진보들이 일독해야 할 책이다.
3막짜리 연극에 부치는 프롤로그
1부 반란의 페미니즘
사회민주주의 시대에 등장한 급진적 비판이론
1 비판이론에 대한 비판
하버마스 이론과 젠더의 사례
2 욕구를 둘러싼 투쟁
후기자본주의 정치문화에 대한 사회주의 페미니즘 비판이론의 개괄
3 의존의 계보학
미국 복지국가의 핵심어 추적하기
4 가족임금 그다음
후-산업시대에 대한 사고실험
2부 길들여진 페미니즘
정체성의 시대, 분배에서 인정으로
5 상징계주의에 대한 반론
페미니즘 정치를 위한 라캉주의의 용도와 남용
6 인정의 시대 페미니즘 정치
젠더정의에 대한 이차원적 접근
7 이성애중심주의, 불인정, 자본주의
주디스 버틀러에 대한 반론
3부 되살아난 페미니즘
신자유주의 시대 자본주의 위기에 맞서기
8 글로벌 세계에서 정의의 프레임 다시 짜기
9 페미니즘과 자본주의, 역사의 간계
10 시장화와 사회보호 사이에서
페미니즘의 양가성 해소를 위해
옮긴이의 말 | 찾아보기
죽는 게 뭐라고
흠... 내가 뭘 기댜한 걸까시크하고 까칠한 면은 인정하고죽음에 대한 그녀의 의연함도 인정하나꽤 많은 다른 부분에서 비뚤러지고 고집세고 제멋대로인 면이 나는 공감되지 않아 순간순간 공격당하는 느낌을 받았다 흐음...무얼 바라고 이 책을 선탹한 걸까;음 한가지 기억에 남는 건 암보다 무서운 건 뇌졸중이라는. 죽지도 못하고 자신도 남도 힘들게 하는 병이라는. 띠로리암 재발 이후 새롭게 마주한 삶 사는 게 뭐라고 작가의 외침 훌륭하게 죽고 싶다 100만 번
fsdrtgf.tistory.com
나만의 세상을 그려봐
상상 그것으로 충분하다[나만의 세상을 그려 봐](로라 칼린 글, 그림/최정선 옮김/밝은미래 펴냄)은 주인공 로라가 상상하는 세계를 그림으로 재미있게 표현한 책이다. 이 책은 주인공 로라가 줄을 서서 기다리는 것으로 시작한다. 로라는 재미없고 지루한 줄서기가 아닌 재미있는 줄서기가 필요하다가 말한다. 이 책은 로라의 상상이야기로 재치 있는 글과 세련된 그림으로 가득하다. 독특하고 창의적인 표지는 책을 열면 어떤 내용이 펼쳐질까 하는 궁금증을 자아내게 한다
ktard.tistory.com